티스토리 뷰

SK 텔레콤(이하 SKT)의 인공지능 플랫폼 '누구(NUGU)'를 호텔에서 만나볼 수 있을 예정이다. 


SKT는 지난 9일 '누구(NUGU)'의 호텔 서비스 버전인 '비스타 워커힐 서비스'를 비스타 워커힐 서울 44개 객실에 적용한다고 밝혔다. 호텔에 묵는 이용객들은 객실에 적용된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다양한 편의 기능을 누릴 수 있을 예정이다. (전체 객실로의 적용은 오는 3분기 내에 이뤄질 예정이다.)


SK텔레콤(SKT)의 인공지능 플랫폼 누구(NUGU) (출처 : SKT)



지난 7월 초 '씨유(CU)' 편의점에 적용했던 오픈 플랫폼 베타 버전이 적용되었다. 객실을 이용하는 투숙객은 '누구'를 이용하여 객실의 조명을 조절하고 커튼을 여닫을 수 있으며 온도 조절 설정, 게스트 서비스 설정 등으로 음성을 쉽게 제어할 수 있다. 


객실에 입실할 때에는 인공지능이 선택한 웰컴 음악이 흘러나오게 된다. 그 밖에 호텔 수영장이나 스카이야드, 셔틀버스 등의 호텔 시설 정보를 물어볼 수 있으며, 체크아웃이나 조식 시간 같은 정보도 음성 명령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SK텔레콤(SKT)의 인공지능 플랫폼 누구(NUGU) (출처 : SKT)


예를 들어, "아리야, 셔틀버스는 어디서 타?"라고 물으면 인공지능 서비스가 "호텔 무료 셔틀 버스는 아침 6시부터 밤 11시 20분까지 10분 간격으로 운행하고 있어요. 호텔 정문을 나가면 맞은 편 정거장이 있는데 거기서 버스를 탈 수 있어요."라고 친절하게 답해주는 식이다. 


SKT는 '누구'의 비스타 워커힐 서비스 버전을 시작으로 인공지능을 다양한 분야에 적용하는 B2B 서비스 분야로 사업을 확장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SK텔레콤(SKT)의 인공지능 플랫폼 누구(NUGU) (출처 : SKT)



SKT는 올 4분기 중으로 누구 오픈 플랫폼을 공개할 예정이다. 누구 플랫폼의 API가 공개되어 애플리케이션 개발자들이 누구 플랫폼의 API를 이용해 인공지능을 이용한 다양한 기능을 선보일 수 있다. 


미국에서는 이미 아마존의 알렉사(Alexa)라는 인공지능 플랫폼이 API를 공개했다. 다양한 기업들은 아마존의 알렉사를 자신들의 서비스에 붙여 똑똑한 제품, 똑똑한 서비스를 만들어 나가고 있다. 


한국의 삼성 전자도 빅스비라는 인공지능 플랫폼을 개방해 빅스비 2.0으로 공개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 미래 먹거리를 찾아 나서고 있는 기업들이 B2B 인공지능 플랫폼 시장에서 본격적인 경쟁을 시작하고 있다.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